
최근 몇년 간 패션계에서 가장 핫한 장르를 꼽으라면
단연 ‘워크웨어’를 꼽을 수 있을 것입니다.
Work + Wear
워크웨어는 이름에서 그 의미를 알 수 있듯
말 그대로 일할 때 입는 옷, 작업복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워크웨어’라는 단어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는 작업복보다 패션 아이템에 더 가깝죠
그렇다면 노동의 현장에서 사람들의 신체를 보호하던 워크웨어는
어떤 사건들로 거쳐 패션으로 발전을 했을까요?
산업혁명과 워크웨어

18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산업혁명은
경제, 정치 등 사회의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공업화로 인해 대부분의 농촌 인구가 도시로 진출하고
대규모의 공장들을 주축으로 한 산업화가 진행되었죠.
이러한 시대의 빠른 변화 속 워크웨어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대량 생산 기술로 의류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워크웨어는 표준화되기 시작했고 질적으로도
큰 발전을 이루기 시작했습니다.
기업에 소속된 노동자들은 유니폼으로써 통일된 워크웨어를
지급받기 시작하며 이는 점차 사회적 계층을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카테고리화 되어갔습니다.
노동자 계급의 상징, 블루칼라
‘블루 칼라’라는 용어는 1924년 아이오와Iowa주의
올든Alden 신문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 단어는
육체 노동 직종에 종사하는 이들을 칭하는데
이는 그들이 입는 옷의 색깔에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져 있죠.

그렇다면 수많은 색상 중 푸른 색이 그 당시
워크웨어를 대표하는 색상이 되었을까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유명한 사연은
19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청바지 브랜드 ‘리바이스(Levi’s)’의 설립자
리바이 스트라우스Levi Strauss는 군용으로 납품하려고
천막을 제작하였고 이후 계약이 파기되자
엄청난 양의 재고를 떠안게 되었습니다.
그런 그에게 시대를 바꿀 아이디어가 떠오르게 됩니다.

당시 미국에서는 금광이 많이 발견되며 금광 산업이
부흥했는데요, 이때 광부들의 바지는 척박한 환경 속에서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많았어요.
이 모습을 보게 된 리바이는 천막용으로 제작된 질긴 천,
‘데님’을 이용하여 바지를 제작해서 공급하기로 결심하였고
이때 개발된 청바지는 입소문을 타고 대박을 치기 시작했죠.
다른 소재보다 내구성은 물론 착용감까지 좋았기에
셔츠, 자켓 등 다양한 갈래로 뻗어가며 노동자들이 가장
많이 입는 형태의 워크웨어로 성장했습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워크웨어는 푸른 색을 띄게 되었고
노동자 계급을 대표하는 색상으로 발돋움을 했죠.
여담으로 푸른 계열의 색상은 염료가 저렴하면서
오염을 숨겨주는 효과가 있어서 인기가 많았습니다.